미국의 현지 언론 보도들에 따르면 전문가들은 바이든이 친환경 정책의 일환으로 전기자동차 관련 공약을 상당히 긍정적으로 바라보고 있다고 평가하고 있다.
바이든은 10년 내로 자동차 판매의 40% 이상을 전기 자동차가 공급 되도록 하겠다는 공약을 내걸어 추진하고 있다. 한 메사추세츠공과대학 교수는 일부 과정에서는 바이든 행정부의 이같은 계획을 두고 개선점은 다소 필요하지만 실제로 전기차로의 전환은 빠르게 실행되고 있다고 평가했다. 또한 많은 자동차 업체들이 전기화를 추진하고 있는 시점에서 미국 정부는 모든 과정에서 더욱 박차를 가해야 하며 다양한 소득수준의 사람들이 전기차를 이용할 수 있도록 인센티브를 주어야 한다고 강조했다.
또 다른 전문가들은 전기차 생산 대수의 증가를 넘어 저렴한 모델 개발 및 충전 인프라 구축에도 집중해야 한다고 주장하고 있다. 즉, 민간 부문에 집중해 전기차의 접근성을 넓혀가자는 것이다. 실제로 많은 사람들이 전기차를 긍정적으로 생각하지만 비용 및 충전 인프라 부족 문제로 선뜻 구매를 결정하지 못한다는 의견이 지배적이다. 이에 정부는 기업과 협력해 보조금과 같은 인센티브를 저소득층 소비자와 다양한 사람들을 대상으로 지급할 수 있도록 해야 할 것이다.
바이든 행정부의 정책과 별개로 몇몇 자동차 기업들은 독자적으로 전기차 전환을 추진할 계획이라 밝혔다. 제너럴 모터스(GM)와 포드는 2030년까지 자동차 판매의 40%를 전기차로 구성할 것이라며 바이든 행정부와 비슷한 계획을 내놓았다.
전문가들은 2030년까지 자동차 판매의 40%가 충분히 전기차로 바뀔 수 있어 현실적이라 평가하고 있으며, 2050년까지는 가솔린과 디젤차량 판매가 전면 중단되어야야 한다고 주장하고 있다.
김지나 글로벌이코노믹 기자 ginakim@g-enew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