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1 홍콩 선물용품 전시회; Hong Kong Gifts &Premium Fair 2021
◇주요 내용
▶ 홍콩 선물용품 전시회는 아시아 최대 규모 선물용품 전문 전시회로 판촉용품, 선물용품, 패션용품, 포장용품, 파티용품, 문구, 완구 등이 전시됨.
- 2019년에는 31개국 4000여 참가사가 참여 하였으며 , 대표적인 바 이어로는 John Lewis, Edible Arrangements, Hitachi Document Solutions, Isetan Mitsukoshi, GRANIT (Samsung C&T), GS Retail (LALAVLA), YES24, Blancheporte Civad 등 유럽 , 미국 , 일본 , 한국의 바이어가 참여하였음.
- 2020년은 코로나19로 개최되지 못하고 홍콩 하계 소싱 온라인 전시회의 일부로 온라인 개최됨 - 2021년은 3월과 7월에 온라인과 오프라인 두 가지 방식 모두 개 최 예정으로, 본 전시회는 7월 26일 ~ 7월 29일 개최되는 오프라 인 전시회임.
◇2019년 기준 박람회 특징
▶ 2019년 한국관은 Hall 3C 위치하고 21개사 참가하였으며, 완구류, 문구류, 생활용품 등 선물용품을 전시하였음.
- 문구, 선물 산업 추세
▶ 스마트용품: ‘스타트업(start-up) 존’
- ‘스타트업 존’은 혁신적인 아이디어와 기업가 정신을 장려하 기 위해 2018년에 처음으로 시작됨. 2019년에는 세계 스타트업 30~40개 기업이 사업 네트워크를 확장하고 세계 바이어들의 이 목을 사로잡기 위해 전시회에 참여함.
- 아로마, 애견 의류, 쥬얼리 등 다양한 품목이 전시되었음. 이 중 앱과 연동하여 기어를 정확하게 조절할 수 있는 ‘스마트 전자 드라이버’와 버튼 하나로 접었다 펼 수 있는 ‘스마트 옷걸 이’와 같은 스마트용품이 바이어들의 관심을 끔.
▶ ‘뷰티 및 건강관’ 처음으로 선보여
- 2019년 처음으로 뷰티 및 건강관(World of Beauty, Fitness &Well-being)이 생김. 고령 인구와 건강한 삶을 추구하는 현대 인이 증가하면서 건강 관리 제품을 찾는 사람 또한 많아지고 있음. 대표적으로 향초, 아로마 제품, 천연 화장품, 마스크팩 등의 제품이 전시되었음.
- 주로“계절성과 디자인을 모두 갖춘 ‘꽃 디퓨저’가 다국적 바이어에게 가장 인기였고, 바쁜 현대인에게 피로 완화와 심 리적 안정감을 돕는 향 제품을 많이 찾는 것 같다”는 평가.
▶ ‘맞춤형 선물’
- 선물은 ‘특별한 날에 특별한 대상에게 주는 것’이기 때문에 평범하다면 소비자의 이목을 끌 수 없음. 현대 소비자들은 더욱 특별하고 독특한 선물을 찾으려는 경향이 있어 자기만의 테마 나 색깔을 입힌 ‘개인화(personalization) 제품’이 인기를 누리 고 있음.
▶ ‘기술’+ 디자인, 테크 선물(Tech Gift)
- 과학 기술의 발전에 따라 테크 용품에 대한 소비자의 수요도 증 가함. 흔하게 볼 수 있는 기존 기술 제품에 독특한 디자인을 입 힌 제품을 전시한 ‘테크 선물관’에 많은 관심이 쏠렸음.
- 이례로 중국 선전의 한 업체는 독특한 디자인의 블루투스 스피 커로, 핸드폰을 스피커 안에 집어 넣으면 좋은 음량과 함께 텔레 비전을 시청하는 것과 같은 느낌을 받는 제품을 선보였음.
◇시사점
▶ 선물용품 특성에 맞는 작은 크기와 낮은 단가
- 한글과 태극 문양의 한지로 디자인한 무드등을 전시했던 업체는 이국적인 디자인으로 서양 바이어들의 눈길을 끌었지만 높은 단 가와 크기가 크다는 이유로 선물로는 적합하지 않다는 평가를 받 았음. 선물용품 특성상 한 번에 대량으로 구매하는 고객이 많기 때문에 비교적 단가가 낮고 크기가 작은 디자인을 도입한다면 주 목을 끌 수 있을 것으로 예상됨.
▶ 국제 전시회 참여로 사업 네트워크 확장
- 선물용품은 트렌드가 빠르게 변화하기 때문에 영향력 있는 국제 전시회에 참여하는 것이 중요함. 특히 선물용품의 경우, 폭넓은 산업을 아우르기 때문에 관련 전시회 참가로 세계 시장에서 사업 네트워크를 확장할 기회가 많음.
▶ 주요 마케팅 전략 및 유통 채널로서의 '온라인 시장'
- 많은 참가업체의 매출 30~40%가 온라인 구매를 통해 이루어진다 고 함. 온라인에서 많은 종류의 상품을 한 번에 볼 수 있으며 구 매 후기 및 가격 비교가 가능하다는 장점이 있기 때문에, 앞으로 도 줄곧 온라인 시장은 주요 마케팅 전략이자 유통 채널이 될 것 이라는 분석.
▶ 가격 경쟁력과 제품 차별성이 관건
- 선물용품 시장의 높은 진입 장벽에 대응하기 위해서 ‘가격 경쟁 력’을 유지하고 ‘제품 차별성’을 두는 것이 중요함. 다른 업체 들이 쉽게 따라올 수 없는 높은 품질과 디자인으로 ‘차별성’을 키우는 것이 중요하다는 분석.
▶ 소비자들의 환경 의식이 높아지면서 재활용 및 재생 가능한 포장 제품을 찾는 바이어가 늘고 있음.
노정용 기자 noja@g-enew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