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국에서 코로나19 사태가 조기에 안정화되고, 중국 정부의 경기 부양책 실시에 대한 기대감이 높아졌다. 중국 정부 주도의 건설 수요 증대는 굴삭기 판매 호조로 이어지고, 국내 두산인프라코어와 현대건설기계 등이 중국에서 직접적인 수혜를 입고 있으며, 전 세계적으로 건설기계가 2019년에 약 110만대 판매됐다.
이 중에서 굴삭기 판매는 약 66만대로 60.3% 비중을 차지했다. 굴삭기 중에서는 대수기준으로 크롤러(무한궤도식) 굴삭기가 51.6%로 가장 많고 다음으로 미니 굴삭기가 45.5% 그리고 휠(타이어식) 굴삭기가 나머지 부분을 차지하고 있다.
농기계 시장 조사업체인 프리도니아(Freedonia)에 따르면 세계 농기계시장 규모는 2014년 기준으로 약 1407억 달러로 추정되며, 10년 후인 2024년에는 그 두 배에 가까운 2560억 달러가 될 것으로 추정했다. 이는 연평균 18.0% 이상의 성장률에 해당하며, 지역별로는 아세아지역이 다른 지역에 비해서 가장 크게 성장할 전망이다.
또한 다양한 농업용 로봇(자율주행트랙터, 농업용 드론, 수확로봇 등)의 세계 시장은 2024년 741억 달러로 추정되며 급속한 성장세가 전망된다. 자율주행 트랙터는 농업용 로봇의 핵심(41.4% 차지)으로 2024년 310억 달러로 추정되며, 마찬가지로 급속한 성장세가 전망된다.
GWEC에 따르면 풍력 신규 설치량(Installation)은 2019년 60.4GW로 역대 2번째이고, 그 중 해상풍력은 6.1GW로 9%로 성장했다. 글로벌 풍력 발전 신규 설치에서, 해상은 2000년초에 시작해 1% 안팎에서, 2010년~2014년 3%를 거쳐, 2015~2016년 5%, 그리고 2017년~2019년 평균 9%로 고속 성장 중이다.
해상은 육상 풍력발전이 2000년 초처럼 20년 후에 고속 성장기를 시작했다. 2025년까지 CAGR +19%(2000년대 글로벌 +22%) 성장한 후 CAGR 8%로 완만해지지만, 2025년~2030년 연 설치량은 20GW~30GW에 달할 전망이다.
한편 마켓츠앤드마켓츠(Marketsandmarkets)에 따르면 전 세계 컨트롤 밸브 시장은 2017년 72억3,610만 달러에서 연평균 성장률 5.33%로 증가하여, 2023년에는 98억8330만 달러에 이를 것으로 예상되고 있다.
전 세계 컨트롤 밸브 시장을 구성요소별로 살펴보면, 엑츄에이터, 밸브 본체, 기타로 구분됨. 엑추에이터는 2016년 29억7,130만 달러에서 연평균 성장률 6.01%로 증가하여 2023년에는 45억3250만 달러에 이를 것으로 예상된다. 밸브 본체는 2016년 23억1,580만 달러에서 연평균 성장률 5.54%로 증가해 2023년에는 34억2650만 달러에 이를 것으로 전망된다. 기타는 2016년 14억8820만 달러에서 연평균 성장률 3.53%로 증가해 2023년에는 19억2430만 달러에 이를 것으로 예상된다.
유압기기의 세계 시장규모는 2017년에 95억 달러이며 2022년에는 198억 달러로 평균 15.8%의 성장률을 보일 것으로 예측되고 있다. 세계 유압 액추에이터의 경우 2016년에서 2020년까지 CAGR 3.49% 수준으로 성장할 것으로 예상되며, 미국의 경우 실린더 제조 시장의 경우 2020년 12억5000만 달러의 시장규모로 전망된다.
또한 전세계 유압 실린더 시장 크기는 2024년 16억4000만 달러의 규모를 가질 것으로 예상된다. 특히 중국 유압 실린더 시장의 경우 2015년 7900만 달러의 규모에서, 2025년까지 3억 달러 규모로 성장할 것으로 예상된다.
마켓와치(MarketWatch)에 따르면 세계 볼스크류 시장 규모는 2017년 18억5000만 달러에서 연평균 1.0% 성장하여 2023년 19억6000만 달러에 이를 것으로 예상된다. 또한 세계 LM가이드 시장규모는 2018년 12억1,770만 달러에서 연평균 3.7% 성장하여 2024년 15억1,430만 달러에 이를 전망이다.
노정용 기자 noja@g-enew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