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미지 확대보기브라질 헤알화가 폭락해 한국 투자자들이 큰 손실을 입은 것으로 나타났다. 사진=글로벌이코노믹
브라질 국채에 수십억 달러를 투자한 한국의 개인 투자자들이 큰 손실을 입게 되면서 위험상품으로부터 초보 투자자들을 보호하기 위한 보다 강력한 조치가 필요하다는 지적이 나오고 있다.
한국의 투자자들은 약 8조 원(68억 달러)을 브라질 정부 채권에 투자했는데 헤알화 폭락으로 인해 국채 투자가 큰 손실을 입었다.
NH증권에 따르면 2029년 1월 만기가 도래하는 브라질 국채 10년물 투자자들은 현재 17.5%의 평가 손실을 보고 있다.
이에 그간 개인투자자들과 퇴직자들에게 장려돼온 매력적이지만 변동성이 큰 이머징 마켓의 금융상품 투자와 관련해 규제당국의 감독이 소홀했던 것이 아니냐는 지적이 나오고 있다. 브라질의 장기 국채는 상대적인 고수익과 양국 간 체결된 조세조약 혜택으로 인해 지난 10년간 부유한 한국 투자들에게 인기였으며, 은행과 증권사들은 브라질 국채 투자를 적극적으로 권유해 왔다.
하지만 올해 들어 헤알화가 원화에 대해 20% 이상 평가절하 되면서 국채 투자는 큰 손실을 안게 되었다. 코로나19로 인해 브라질 경제는 심대한 영향을 받았고, 이로 인해 재정 적자는 확대되고, 중앙은행이 기준금리를 사상 최저로 낮췄기 때문이다. 하지만 수많은 한국의 투자자들은 국채를 매입했을 때 통화 위험에 대비하지는 못했던 것이 가장 큰 원인으로 지적된다.
한국의 개인 투자자들은 구조화상품에 과하게 노출된 헤지펀드와 의심스러운 투자 행태를 보여온 사모펀드에 대해 '밑빠진 독에 물붓기'식 투자로 인해 최근 수개월 동안 큰 타격을 입었다. 올해 초 한국의 투자자들은 원유 상장지수펀드(ETF)에 투자했다가 큰 소실을 입기도 했으며, 코로나19로 인해 원유 가격은 올 초에 폭락세를 보인 바 있다. 결국 브라질 국채는 투기 등급이지만 국내 증권사와 은행들은 위험 수준을 제대로 평가하지 않고 위험한 자산을 지속적으로 판매해왔다. 이에 대한 국내 금융기관의 ‘도덕적 해이’가 심각한 것이라는 지적이 나올 수 밖에 없다.
신용평가업체 무디스는 지난 5월 브라질 국채의 ‘안정적’ 등급 전망에 리스크가 커지고 있다고 경고했고, 투자 등급으로부터 2단계 아래에 있는 현재 등급이 추가로 떨어질 수 있음을 시사했다. 또 다른 신평사 스탠더드앤푸어스와 피치도 등급 전망을 강등했다. 결국 당분간 헤알화의 원상회복이 힘들 것이라는 전망 하에 브라질 정부 채권에 대한 투자는 상당히 위험한 도박이 될 수밖에 없다. 노정용 기자 noja@g-enews.com